-
be supposed to ~하기로 되어 있어(회화에서 많이 쓰는!)영어공부 2021. 2. 10. 23:50
출처:구글 be supposed to (원래) ~하기로 되어 있어/ ~해야 해
Meaning:If you say that something is supposed to happen, you mean that it is planned or expected. Sometimes this use suggests that the thing doesn't really happen in this way.
무엇을 하기로 되어있다고 말하면, 그 의미는 계획한 것 기대하고 있는 것을 말함. 실제로 일어나지 않았을 때 사용되기도 함.
사용 되는 상황
예문
1
예정되어 있는 가까운 계획
What're you doing this weekend? 주말에 뭐해?
I'm supposed to meet my friend. 친구를 만나기로 했어요.
(실천해야 할 의무감은 들지만 꼭 지켜진다는 보장은 없음.)I'm gonna meet my friend. 친구를 만날 거에요.
(goint to:내가 실천하고 싶다는 의지가 있고 실제 일어날 가능성이 높음.)Who are you supposed to be?
(할로윈 때, 내가 모르는 코스튬 입은 것 보았을 때) 무엇으로 변장한 거에요, 무슨 의상이에요?
2
날씨
It's supposed to rain today. 오늘 비온다고 하더라. (rain, snow동사 가능)
It's supposed to be cold early next week. 다음주 초에 춥다고 하더라 (hot, cold는 be 동사 쓰기)
3
규칙 및 관습 (원래~하기로 되어있다는 걸 상기시켜주며 가볍게 조언/경고할 때)
- 전통
- 상식적인 기준
- 관습/관례
- 법/정책/규정
You are not supposed to sit/smoke in here. 여기서 앉으시면/담배피시면 안되요.
I don't think you're supposed to do that. 원래 그러면 안 되는 것 같은데.
A teacher is supposed to inspire his students.
그 선생님은 그의 학생들을 격려해야한다. (그동안 안 그랬다는 의미)
4
답답하고 짜증날 때 쉽게 쓸 수 있는 의문문.
~하기로 되어있는 거야? ~해야 하는 거야? (단순히 궁금한 것보다 답답하고 짜증날 때 씀.)Where am I supposed to go? (원래)어디로 가야 하는 거야? (=도대체 어디로 가라는 거야?!)
What am I supposed to do? 뭘 해야 하는 거야?(=나보고 대체 어쩌란 거야?)
*What's that supposed to mean? (정말 자주 쓰이는) (상대의 말/행동이 믿기지 않을 때) 그건 무슨 의미로 한 말/행동이야?(=그게 무슨 뚱딴지 같은 소리야)
How am I supposed to know?
내가 그걸 어떻게 알겠어? (How do I have to know로 바꿔 말하면 안됨)
was/were supposed to (결국 안 일어난 일)~하기로 되어 있었어/ ~하기로 했었어If something was supposed to happen, it was planned or intended to happen, but didn't in fact happen.
과거형으로 사용하면, 계획했던 일은 안 일어남.
What did you do yesterday? 어제 뭐 했어?
Well, I was supposed to study English, but I was too busy.
영어공부하기로 했는데, 너무 바빴어. (=안했다)
This was supposed to come with fries, wasn't it? (Wasn't it supposed to come with fries?)
(콤보 주문 했는데 단품만 나왔다.)이거 감자튀김하고 같이 나오는 거 아니였나요?
This was supposed to be well done. This is obviously rare.
웰던으로 나왔어야 했는데... 이거는 레어네요.
have to don't have to should shouldn't ~해야 해, 해야된다(단순한 의무사항) 안해도 된다, 할 필요가 없다. 의무보다 권장사항 ~하는게 좋겠어, ~하는게 좋을 거야 ~하지 않는게 좋겠다. 보단 -> 하면 안된다에 가까움. (어떤 기준에 의해 그러면 안된다가 아닌 개인적인 충고/조언) I have to go to work this Saturday.
출근하는게 내 의사가 아니라 다른 어떤 기준에 의해 판단된 것.
I should go to work this Saturday.
나 이번주 토요일에 출근해야겠어/하는게 좋을거야/하는게 좋겠어. 나의 의견, 판단, 의사가 포함 된 것.
You don't have to worry about that.
그 것에 대해 걱정 할 필요 없다.
You aren't supposed to be late on the first day.
첫 날에 늦으면 안되. (어떤 상식적인 기준의 느낌으로)
You shoudn't be late on the first day.
첫 날에 늦으면 안되. (개인적인 충고/조언)
I have to be in Myeongdong by 2 o'clock today.
가야하는 것이 내가 원하든 안 원하든 어떤 것에 의해 결정된 의무사항 느낌. (약간 부정적)
I am supposed to be in Myeongdong by 2 o'clock today.
사람간의 합의에 의한 책임으로 가야하는 느낌. (약간 긍정적)
**구슬쌤, 마이클엘리엇, 라이브아카데미로 공부합니다.
'영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s all about ~가 가장 중요해! ( ~에 관한 모든 것이라 해석x) (0) 2021.02.14 (누구나 알고 있지만)말 꺼내기 힘든 주제 영어로? (0) 2021.02.12 '해방시키다, 자유롭게 하다'(보수적인 반대느낌) 영어로? (0) 2021.02.09 '가슴 아픈, 가슴 저미는' 영어로? (0) 2021.02.08 '말도 안되는, 터무니없는, 황당한 ' 영어로? (0) 2021.02.07